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로컬 한인 작가들의 '한류' 전시회 호평

여성 작가 12명 작품 전시   존스크릭 아트센터에서 '한류(Hallyu)'라는 주제 아래 열리고 있는 한인 작가들의 작품 전시회가 호평을 받고 있다. 이번 작품 전시회는 지난 8일부터 시작해 20일 오프닝 리셉션을 거쳐 다음달 10일까지 이어진다.   오프닝 행사에서 스테파니 도날드슨 아트센터 디렉터는 "존스크릭에 다양한 커뮤니티가 살고있는 만큼, 우리 아트센터에도 그 다양함을 투영하고 싶다"며 처음으로 한인 작가들의 전시회를 열게 된 취지를 설명했다.   전시회에는 12명의 여성 한인 작가들이 참여했다. 앨라배마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문미나 한지공예작가, 유리 등을 이용한 작품을 만드는 앤젤리카 김 프리먼 작가, 도자기로 특별한 조명을 표현하는 다이엔 최 작가 등이 참석해 작품을 설명했다.   주최 측은 특별 심사위원을 초빙해 전시회에 출품된 작품 중 1~3위를 선정했는데, 1위는 아이들이 공기놀이하는 장면을 한지로 표현한 문미나 작가의 작품이 차지했다. 문 작가가 이번 전시회에 출품한 세 작품은 모두 한국 전통을 엿볼 수 있고 캐릭터의 생생한 표정으로 스토리텔링을 연출한 것이 특징이다   문 작가는 "작품 활동을 28년간 했는데 최근에는 한국의 전통 풍습을 알리는 작품을 주로 작업하고 있다. 내 작품으로 한국을 알릴 수 있어 뿌듯하다"고 말했다. 현재는 '서당'을 주제로 한 작품을 작업 중이라고 덧붙였다..   박사라 작가의 '뉴 비기닝'은 3위를 차지했다. 해당 작품은 캔버스 위에 한지를 붙여서 표현해낸 것으로, 그가 미국에 처음 이민 왔을 당시 새롭게 시작한다는 의미로 작업했다.   앤젤리카 김 작가는 건강 때문에 10년간 미술 작업을 하지 못했다며 "깨진 유리, 탄 나무와 같이 칙칙하고 차가운 소재들이 빛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영감을 받는다"고 전했다.   다이엔 최 작가는 로컬에서 도자기 공방을 두 곳 운영한다. 최 작가는 도자기의 형태에 빛의 효과를 더해서 교감과 소통하는 것에 의미를 둔다고 말했다.   니콜 강 작가는 한국계 미국인의 정체성을 강조하고 탐구하는 작품을 전시했다. 그는 자신의 소중한 기억을, 한국계 여성들의 당당한 모습 등을 일러스트레이터풍으로 묘사한 작품을 설명했다.   이외에도 자개, 서예 등의 작품을 전시회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5월 10일까지 방문객 투표로 '피플스 초이스 어워드'도 진행하고 있다. 전시회는 무료이며, 월~금요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 토요일은 사전에 연락하고 방문할 수 있다.   ▶주소=6290 Abbotts Bridge Road, Bldg. 700(존스크릭 H 마트 맞은편)   윤지아 기자작품 전시회 작품 활동 작품 영감

2024-04-22

삶과 예술 사이 갈등…이해와 극복

  김경애, 데미안 서 작가의 2인전 ‘듀얼 커넥션(Dual Connection)’이 13일부터 3주동안 리앤리갤러리(관장 이 아그네스)에서 열린다.       두 작가는 ‘듀얼 커넥션’ 전시 작품을 통해 추상성을 내포한 삶과 예술 사이에서 겪게 되는 갈등과 이해 그리고 극복의 과정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 작품은 각각 25여점씩 총 50점이다.     김경애 작가는 “디아스포라의 삶 속에서 만나게 된 캘리포니아 사막에서 작품 소재를 찾고, 가끔씩 작품에 등장하는 물고기는 기독교의 상징을 나타내며, 작품의 영감으로 연결 된다”고 설명했다.     주로 한지 위에 잉크와 아크릴화의 믹스드미디어 작업을 하는 김작가는 서울대학교와 홍익대학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서울과 LA에서 꾸준히 작품 발표를 해오고 있다.   데미안 서 작가의 창작 여정은 세상 모든 사물들과 생명체들에 대한 오랜 관찰을 통한 이해에서 비롯된다. 그의 작업 패턴은 응집과 확산을 적절히 조율하며, 추상과 구상의 동반자적 표현 방식을 추구한다. 데미안 서 작가는 인하대학교에서 조각을 전공했고, LA에서 5회 개인전과 그룹전을 통해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전시 기간은 13일부터 5월3일까지다. 오프닝 리셉션은 13일 오후 2시부터 5시까지다.     ▶주소:3130 Wilshire Blvd. #502. LA     ▶문의:(213)365-8285 이은영 기자 lee.eunyoung6@koreadaily.com예술 갈등 전시 작품 예술 사이 작품 활동

2024-04-07

미술 전시회로 불우아동 지원

불우아동을 돕는 글로벌어린이재단(GCF) OC지부(회장 그레이스 홍)가 부에나파크의 JJ글로벌아츠갤러리(대표 줄리엣 이)와 함께 기금 마련을 위한 미술 전시회를 개최한다.   OC지부 회원인 이 대표는 내달 10일(토) 오후 4~7시 부에나파크 플라자에 마련한 갤러리(8600 Beach Blvd, #201) 그랜드 오프닝 행사와 함께 선보일 첫 전시회로 OC와 인근 지역에서 활동하는 작가 3인의 그룹전을 준비했다. 이 대표는 본지와 통화에서 “첫날 작품 판매 수익 중 갤러리 몫은 OC지부 기금으로 사용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번 전시회에 갤러리가 소장한 살바도르 달리, 알렉산더 칼더, 고 김창열 화백의 판화 작품, 오렌지카운티의 유명 로컬 화가 마리 자바노 등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그룹전엔 강현애, 에릭 거다우, 프레드 스토더 작가가 참여한다. 강, 거다우 작가는 그림, 스토더 작가는 세라믹 작품을 선보인다.   강 작가는 이화여대 출신으로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활약 중인 단색화 아티스트다. 세계 각지 아트 페스티벌에 참여하고 전시회를 통해 작품을 알리고 있다. 이번 전시회엔 10여 점을 출품한다.   거다우는 로드아일랜드 디자인스쿨에서 회화를 전공했으며, 구겐하임 어워드도 받았다. 졸업 후 뉴욕에서 활동했으며, 현재는 가주 예술가의 산실로 불리는 라구나비치에 자리 잡고 왕성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6점을 선보인다.   스토더는 라구나비치에서 자랐고 UC어바인에서 파인아트 학위를 받았다. 현재 샌후안캐피스트라노에 스튜디오를 두고 있다. 그는 세라믹 작품 외에 조각, 영화 제작 등 다양한 활동으로 주목 받고 있다. 전시회엔 40여 점의 세라믹 작품과 조각을 출품한다.   전시회는 7월 5일까지 열린다. 갤러리 개관 시간은 수~토요일 정오부터 오후 5시다. 예약(714-269-5966, 715-502-4115)을 해야 관람할 수 있다.   OC지부는 회원을 모집하고 있다. 일반 회비는 월 10달러, 평생 회비는 1000달러다. 문의는 그레이스 홍 회장(714-745-4884), 양승현 총무(714-588-3829)에게 하면 된다. 임상환 기자불우아동 전시회 미술 전시회 이번 전시회 작품 활동

2023-05-17

[차세대 리더를 만나다] 살아보니 LA폭동은 나의 현실이었다

유명 갤러리인 뉴욕 하시모토 컨템포러리에는 현재 ‘사이구(Saigu)’라는 제목의 그림이 내걸렸다. 시카고 지역 한인 2세 화가인 데이비드 허(31)씨의 작품이다. 세로 36인치, 가로 24인치 작품으로 휴대용 게임기 화면 속에 총을 들고 사업체를 지키는 한인들의 모습이 캔버스에 담겨있다. 그 옆에는 허씨가 ‘사이구’와 같은 사이즈로 그린 ‘로드니(Rodney)’라는 제목의 그림도 함께 전시되고 있다. 허씨는 시카고예술대학 미술 석사(MFA) 출신이다. 그림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알리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는 요즘 현대 미술계에서 신예 화가로 주목받고 있다. 허 작가에게 그가 걷고 있는 예술가로서의 여정을 물었다.   -왜 ‘사이구’를 그리게 됐나.   “내 생일도 ‘1992년 4월 29일’이다. 어릴 때부터 어머니는 축하와 함께 나와 같은 한인들에게는 비극적인 날이라는 점을 상기시켜 주셨다. 그때만 해도 ‘사이구’는 나에게 하나의 역사였을 뿐이다. 나중에 시간이 흘러 미국 사회에 아시안에 대한 인종차별, 인종주의, 계급주의 등이 얼마나 뿌리 깊이 자리 잡고 있는지를 알게 됐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그려낸 역사적 탐구의 작품이 바로 ‘사이구’다.”   -인종 문제의 뿌리를 알게 된 계기는.   “조지 플로이드 사건이었다. 이는 ‘사이구’를 촉발한 로드니 킹 사건과 겹쳐진다. 나에게 ‘사이구’는 더는 역사가 아닌 내가 사는 현실이었다. 31년의 시차가 있지만, 상황과 촉매제는 같다.”   -정체성이 작품 활동에 미치는 영향은.   “나는 세 가지 맛을 조합한 ‘나폴리탄 아이스크림’과 같다. 나의 부모님은 1980년대에 텍사스로 온 이민자였다. 이후 조지아에서 나를 낳았다. 나는 집에서 한국의 전통과 문화를 배웠고, 학교에서는 남부 특유의 문화와 신념 등을 익혔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는 시카고로 터전을 옮겼다. 이러한 다양한 배경이 지금의 나를 만들었다. 게다가 시카고는 근면한 노동자, 상인 등을 빗댄 ‘큰 어깨(Big Shoulder)의 도시’로 불린다. 시카고는 그동안 이민자로서 열심히 살아온 부모님의 인생 여정을 떠올리게 하는 도시다. 나는 이러한 다양한 배경 속에서 작품의 영감을 얻는다.”   -90년대생 예술가로서 작품의 공감 요소는.   “사회학에서는 최근 ‘제3 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이란 용어가 등장했다. 줄여서 ‘TCK’라고 하는데 이들은 사회에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부모 세대 문화를 완전히 공감하지 못하고 동시에 주류 문화에 속하게끔 권유받지만, 그곳에서도 ‘다른 것’으로 분류된다. TCK는 이 때문에 표류하게 되고 일종의 ‘불분명한 지역’에 놓이게 된다. 나 역시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제3의 문화’가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이해하려고 탐구하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세대가 TCK를 목격하고 있고, 이는 앞으로 나의 작품 활동 속에서도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다.”   -왜 미술을 하게 됐나.   “대부분의 이민자처럼 우리 부모님도 내가 예술가가 되는 것을 기뻐하지 않았다. 법이나 의학을 전공으로 선택하길 원했다. 때문에 미술 교육을 본격적으로 받기 시작한 것도 고등학교 진학 후였다. 이 길을 본격적으로 걷게 되기까지 순탄하지 않았다. 나는 작업을 통해 도전하는 것을 즐긴다. 의도적으로라도 창의적으로 살아가길 열망한다. 물론 전업 예술가라는 사실을 끊임없이 상기시킨다. 때론 ‘가면 증후군’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렸을 때부터 꿈꿔왔던 일이기에 스스로 마음을 다잡는다. 계속 꿈을 꾸고 이러한 의식을 계속 유지하고 싶은게 나의 열망이다.”   장열 기자 jang.yeol@koreadaily.com차세대 리더를 만나다 la폭동 인종차별 시카고예술대학 미술 작품 활동 시카고 지역

2023-05-16

[열린 광장] 존 스타인벡 기념관에 가다

 캘리포니아주 중부의 살리나스는 농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온 도시다. 인구 약 15만 명의 작은 도시지만 ‘미국의 샐러드 보울(Americas Salad Bowl)’ 이란 별명을 가질 정도로 채소를 재배하는 농장이 많다. 캘리포니아주의 농업 생산량은 텍사스주의 2배 이상이다.   미국의 대표적인 작가 존 스타인벡(1902--1968)은 살리나스에서 태어나 자라고, 글을 썼다. 공무원인 아버지와 교사인 어머니의 영향으로 어려서부터 책을 많이 읽고 글쓰기를 좋아했다. 집 가까이에 있는 스탠퍼드대학 영문학과에 입학했으나 경제 사정으로 중퇴하고 뉴욕으로 가 기자(1925--1926) 생활을 했다. 기사에 주관적인 내용이 많이 포함된다는 이유로 2년만에 해고된 후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다. 이곳에서 그는 여러 가지 일을 하며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했다.   살리나스에 있는 기념관에는 그의 삶과 작품 활동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연보가 사진과 함께 전시되어 있다. 가장 눈에 잘 띄는 곳에 가장 큰 글씨로 “나는 내가 항상 숨을 쉬는 것처럼 글을 썼다” 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면 그가 얼마나 열심히 글을 쓰며 노력했는지 알 수 있다.   처음에는 몇 권의 작품을 발표했으나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1937년 ‘생쥐와 인간(Mice and Men)’을 발표하면서 인정받기 시작했다. 이 작품을 자신이 직접 시나리오 작업을 해 만든 영화로 희곡 비평가상까지 받았다. 1939년에 발표한 ‘분노의 포도 (The Grapes of Wrath)’ 가 첫해 50만 부가 팔리고 다음 해 퓰리처상까지 받으며 미국을 대표하는 소설가로 인정받기 시작했다.     그 후에도 여러 작품을 발표했으나 가장 잘 알려진 작품은 ‘에덴의 동쪽’ 이다. 1952년에 발표한 이 소설은 성서의 카인과 아벨의 이야기를 모티브로 해서, 살리나스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대서사시이다. 우리에게는 그의 소설로 만든 영화 ‘에덴의 동쪽’이 더 많이 알려져 있다. 무명이었던 재임스 딘은 이 영화로 세계적인 스타가 되기도 했다.       스타인벡은 1962년 노벨 문학상을 받으면서 세계적인 작가로 우뚝 섰다. 헤밍웨이에 비해 너무 과소 평가되어  있다고 생각하는 평론가들이 많다는 사실은 그가 훌륭한 작가임을 입증한다. 살리나스시와 주민들은 그를 기념하기 위해 1998년 시내 가운데 ‘국립 존 스타인벡 기념관’을 개관했다. 그리 크지는 않지만 깨끗하게 잘 만들어진 기념관에 들어서면 오른쪽에 작은 극장이 있어 그의 일생을 조망해 볼 수 있는 영화가 상영된다. 영화를 본 후 왼쪽 방에 들어서면 그의 일생과 작품들을 설명하는 기록물들이 사진과 함께 잘 전시되어 있다. 전시물들은 이 위대한 작가를 우리의 기억 속에 생생하게 살아 숨 쉬게 해준다.    살리나스는 LA에서 북쪽으로 300여 마일 거리에 있다. 생활에 변화를 주고 싶을 때, 새로운 생각을 하고 싶을 때, 외부로부터의 어떤 도움이 필요하다고 느껴질 때, 이 거장이 살았던 곳을 방문해 그의 숨결을 느끼며 자신의 소리를 들어보는 것도 방법이 될 것이다. LA에서 그리 멀지 않는 곳에서 스타인벡의 삶과 작품을 들여다볼 수 있는 것은 우리가 가질 수 있는 여러 가지 행복 중의 하나다.   최성규 / 베스트 영어 훈련원장열린 광장 스타인벡 기념관 스타인벡 기념관 일생과 작품들 작품 활동

2022-09-21

17세 한인 소년 작품 게티뮤지엄서 전시

남가주 지역 10대 한인 작가의 사진 작품이 게티뮤지엄에 내 걸렸다.   게티뮤지엄에 따르면 오는 10월 16일까지 ‘리커넥팅 위드(reconnecting with)’라는 주제로 청소년 사진전 수상작 전시회(수상 작가 20명)가 진행된다.   이중 한인 3세 이안 김(17·글렌데일)군이 외할머니의 모습을 담은 작품(작품명·Reconnecting With Family History)이 전시돼 화제다.   게티뮤지엄 측은 “김군의 작품은 1964년에 이민 온 외할머니의 모습을 통해 한인 3세로서 가족의 역사를 다시 연결하는 과정을 담고 있다”며 “이민자로서 문화의 혼합, 정체성과 뿌리, 한국의 가치 등이 어떻게 미국 사회로 해석되고 적용되는지를 보여주었다”고 밝혔다.     이 사진에는 김군이 외할머니가 살아가는 모습이 여과 없이 담겨있다. 벽에 걸려있는 가족들의 사진, 빨래 건조대, 이민 올 때 들고 온 소품 등을 배경으로 외할머니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필름에 담았다. 본지 신문도 사진 속에 담겨있어 한인 이민자의 삶을 엿볼 수 있다.   김군은 하버드-웨스트레이크 학교 출신이다. 김군은 이 학교의 신문인 ‘더 크로니컬’과의 인터뷰에서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면서 미국에서 한인 3세대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보여주고 싶었다”며 “할머니 집에 가면 한국에서 미국에 이민을 오게 된 여정과 한인으로서의 정체성, 유산 등이 묻어나는데 그 부분을 사진에 담으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김군은 7학년 때부터 카메라를 잡았다. 특히 이번 출품을 위해 디지털 사진이 아닌 필름으로 촬영 작업을 했다.       김군은 “필름으로 작업하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솔직히 쉽지 않았다”며 “하지만 사진에 대해 더 깊이 들여다보고 다양하게 생각해볼 수 있었던 시간이었다”고 말했다.   김군은 계속해서 작품 활동을 이어갈 예정이다. 현재는 위안부 문제를 다루는 애니메이션 작업을 펼치고 있다.   한편, 게티뮤지엄의 청소년 사진전 수상작 전시회에는 세계 각국에서 1600명 이상의 작가가 사진 작품을 제출했다. 그중 20명의 작품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전시회는 게티뮤지엄과 비영리 예술 기관 ‘엠플리파이어’가 공동 주최한 것으로 알렉스 알바드리, 칩 토머스, 크리스천 링컨 등 유명 예술가, 큐레이터 등이 수상작 선정에 참여했다. 장열 기자ㆍjang.yeol@koreadaily.com한인 작품 한인 3세대 한인 이민자 작품 활동

2022-08-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